[백준(BOJ) - Python] 2530번 <인공지능 시계> 📄문제 🔍코드 H, M, S = map(int,input().split()) time = int(input()) S += time if S > 59: M += (S // 60) S = S % 60 if M > 59: H += M // 60 M = M % 60 if H > 23: H = H % 24 print(H, M, S)문제 출처 : https://www.acmicpc.net/problem/2530 백준 알고리즘 2022.02.14
[이것이 코딩 테스트다] 그리디 <1. 당장 좋은 것만 선택하는 그리디> 📚그리디Greedy 그리디 알고리즘은 영어 그대로 번역하여 '탐욕법' 으로 소개된다. 여기서 '탐욕법' 은 '현재 상황에서 지금 당장 좋은 것만 고르는 방법' 을 의미한다. 그리디 알고리즘은 기준에 따라 좋은 것을 선택하는 알고리즘이므로 문제에서 '가장 큰 순서대로' 혹은, '가장 작은 순서대로'와 같은 기준을 알게 모르게 제시해준다. 대체로 이 기준은 정렬 알고리즘을 사용했을 때 만족시킬 수 있으므로 그리디 알고리즘 문제는 자주 정렬 알고리즘과 짝을 이루어 출제된다. [예제 1] 거스름돈 : 당신은 음식점의 계산을 도와주는 점원이다. 카운터에는 거스름돈으로 사용할 500원, 100원, 50원, 10원짜리 동전이 무한히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손님에게 거슬러 줘야 할 돈이 N원일 때 거슬러 줘야 할 동전의.. 이것이 코딩 테스트다 with파이썬/CHAPTER 03 [그리디] 2022.01.11
[이것이 코딩 테스트다] 복잡도 📚복잡도 복잡도는 알고리즘의 성능을 나타내는 척도이다. 시간 복잡도는 특정한 크기의 입력에 대하여 알고리즘이 얼마나 오래 걸리는지를 의미 공간 복잡도는 특정한 크기의 입력에 대하여 알고리즘이 얼마나 많은 메모리를 차지하는지를 의미 결국 동일하게 수행하는 알고리즘이 있다면 일반적으로는 복잡도가 낮을수록 좋은 알고리즘이라고 말할 수 있다. 🔍시간 복잡도 시간 복잡도를 표현할 때는 보통 빅오(Big-o)표기법을 사용한다. 빅오 표기법을 간단히 정의하면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항만을 고려하는 표기법이다. 다시 말해 함수의 상한만을 나타낸다. [예제 1] 시간 복잡도 O(N) array = [3, 5, 1, 2, 4] # 5개의 데이터(N = 5) summary = 0 # 합계를 저장할 변수 # 모든 데이터를 하나.. 이것이 코딩 테스트다 with파이썬/CHAPTER 01 [코딩 테스트 개요] 2022.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