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이 코딩 테스트다 with파이썬 11

[이것이 코딩 테스트다] DFS/BFS <2. 탐색 알고리즘 DFS/BFS>

📚DFS(Depth-First Search, 깊이 우선 탐색) 그래프에서 깊은 부분을 우선적으로 탐색하는 알고리즘 프로그래밍에서 그래프는 크게 2가지 방식으로 표현 가능하다. 인접 행렬(Adjacency Matrix) : 2차원 배열로 그래프의 연결 관계를 표현하는 방식. 인접 리스트(Adjacency List) : 리스트로 그래프의 연결 관계를 표현하는 방식. [인접 행렬 방식 예제] INF = 999999999 # 연결되어 있지 않은 노드끼리는 무한(Infinity)로 표현 # 2차원 리스트를 이용해 인접 행렬 표현 graph = [ [0, 7, 5], [7, 0, INF], [5, INF, 0] ] print(graph) [[0, 7, 5], [7, 0, 999999999], [5, 99999999..

[이것이 코딩 테스트다] 구현 <3. 게임 개발>

📚[실전 문제] [문제] 현민이는 게임 캐릭터가 맵 안에서 움직이는 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캐릭터가 있는 장소는 1 X 1 크기의 정사각형으로 이뤄진 N X M 크기의 직사각형으로, 각각의 칸은 육지 또는 바다이다. 캐릭터는 동서남북 중 한 곳을 바라본다. 맵의 각 칸은 (A, B)로 나타낼 수 있고, A는 북쪽으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 B는 서쪽으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이다. 캐릭터는 상하좌우로 움직일 수 있고, 바다로 되어 있는 공간에는 갈 수 없다. 캐릭터의 움직임을 설정하기 위해 정해 놓은 매뉴얼을 이러하다. 1. 현재 위치에서 현재 방향을 기준으로 왼쪽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방향)부터 차례대로 갈 곳을 정한다. 2. 캐릭터의 바로 왼쪽 방향에 아직 가보지 않은 칸이 존재한다면, ..

[이것이 코딩 테스트다] 구현 <2. 왕실의 나이트>

📚[실전 문제] [문제] 행복 왕국의 왕실 정원은 체스판과 같은 8 X 8 좌표 평면이다. 왕실 정원의 특정한 한 칸에 나이트가 서 있다. 나이트는 매우 충성스러운 신하로서 매일 무술을 연마한다. 나이트는 말을 타고 있기 때문에 이동을 할 때는 L자 형태로만 이동할 수 있으며 정원 밖으로는 나갈 수 없다. 나이트는 특정한 위치에서 다음과 같은 2가지 경우로 이동할 수 있다. 수평으로 두 칸 이동한 뒤에 수직으로 한 칸 이동하기 수직으로 두 칸 이동한 뒤에 수평으로 한 칸 이동하기 ❗이처럼 8 X 8 좌표 평면상에서 나이트의 위치가 주어졌을 때 나이트가 이동할 수 있는 경우의 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이때 왕실의 정원에서 행 위치를 표현할 때는 1부터 8로 표현하며, 열 위치를 표현할 때는 a..

[이것이 코딩 테스트다] 구현 <예제 4-2. 시각>

📚[예제 4-2] 시각 [문제] 정수 N이 입력되면 00시 00분 00초부터 N시 59분 59초까지의 모든 시각 중에서 3이 하나라도 포함되는 모든 경우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 1을 입력했을 때 다음은 3이 하나라도 포함되어 있으므로 세어야 하는 시각이다. 00시 00분 03초 00시 13분 30초 반면에 다음은 3이 하나도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세면 안 되는 시각이다. 00시 02분 55초 01시 27분 45초 [입력 조건] 첫째 줄에 정수 N이 입력된다. (0

[이것이 코딩 테스트다] 구현 <예제 4-1. 상하좌우>

📚[예제 4-1] 상하좌우 [문제] 여행가 A는 N X N 크기의 정사각형 공간 위에 서 있다. 이 공간은 1 X 1 크기의 정사각형으로 나누어져 있다. 가장 왼쪽 위 좌표는 (1,1)이며, 가장 오른쪽 아래 좌표는 (N,N)에 해당한다. 여행가 A는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시작 좌표는 항상 (1,1)이다. 우리 앞에는 여행가 A가 이동할 계획이 적힌 계획서가 놓여 있다. 계획서에는 하나의 줄에 띄어쓰기를 기준으로 하여 L, R, U, D 중 하나의 문자가 반복적으로 적혀 있다. 각 문자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L : 왼쪽으로 한 칸 이동 R : 오른쪽으로 한 칸 이동 U : 위쪽으로 한 칸 이동 D : 아래쪽으로 한 칸 이동 이때 여행가 A가 N X N 크기의 정사각형 공간을 ..

[이것이 코딩 테스트다] 파이썬 문법 <1. 자료형>

📚수 자료형 🔍정수형 정수형에는 양의 정수(+), 음의 정수(-), 0이 있다. a = 1000 # 양의 정수 print(a) a = -7 # 음의 정수 print(a) a = 0 # 0 print(a)# 출력 1000 -7 0🔍실수형 실수형은 소수점 아래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수 자료형이다. 소수부가 0이거나, 정수부가 0인 소수는 0을 생략하고 작성할 수 있다. a = 157.93 # 양의 실수 print(a) a = -1837.2 # 음의 실수 print(a) a = 5. # 소수부가 0일 때 0을 생략 print(a) a = -.7 # 정수부가 0일 때 0을 생략 print(a)# 출력 157.93 -1837.2 5.0 -0.7실수형 데이터를 표현하는 방식으로 파이썬에서는 e나 E를 이용한 지수 표..

[이것이 코딩 테스트다] 그리디 <4. 1이 될 때까지>

📚[실전 문제] 1이 될 때까지 [문제] 어떠한 수 N이 1이 될 때까지 다음의 두 과정 중 하나를 반복적으로 선택하여 수행하려고 한다. 단, 두번째 연산은 N이 K로 나누어 떨어질 때만 선택할 수 있다. 첫번째, N에서 1을 뺀다. 두번째, N을 K로 나눈다. 예를 들어 N이 17, K가 4라고 가정하자. 이때 1번의 과정을 한 번 수행하면 N은 16이 된다. 이후에 2번의 과정을 두 번 수행하면 N은 1이 된다. 결과적으로 이 경우 전체 과정을 실행한 횟수는 3이 된다. 이는 N을 1로 만드는 최소 횟수이다. ❓ N과 K가 주어질 때 N이 1이 될 때까지 1번 혹은 2번의 과정을 수행해야 하는 최소 횟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조건] 첫째 줄에 N(2

[이것이 코딩 테스트다] 그리디 <3. 숫자 카드 게임>

📚[실전 문제] 숫자 카드 게임 [문제] 숫자 카드 게임은 여러 개의 숫자 카드 중에서 가장 높은 숫자가 쓰인 카드 한 장을 뽑는 게임이다. 단, 게임의 룰을 지키며 카드를 뽑아야 하고 룰은 다음과 같다. ❗ 1. 숫자가 쓰인 카드들이 N X M 형태로 놓여 있다. 이때 N은 행의 개수를 의미하며, M은 열의 개수를 의미한다. 2. 먼저 뽑고자 하는 카드가 포함되어 있는 행을 선택한다. 3. 그다음 선택된 행에 포함된 카드들 중 가장 숫자가 낮은 카드를 뽑아야 한다. 4. 따라서 처음에 카드를 골라낼 행을 선택할 때, 이후에 해당 행에서 가장 숫자가 낮은 카드를 뽑을 것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가장 높은 숫자의 카드를 뽑을 수 있도록 전략을 세워야 한다. [입력 조건] 첫째 줄에 숫자 카드들이 놓인 행의 ..

[이것이 코딩 테스트다] 그리디 <2. 큰 수의 법칙>

📚[실전 문제] 큰 수의 법칙 [문제] &#39;큰 수의 법칙&#39;은 일반적으로 통계 분야에서 다루어지는 내용이지만 동빈이는 본인만의 방식으로 다르게 사용하고 있다. 동빈이의 큰 수의 법칙은 다양한 수로 이루어진 배열이 있을 때 주어진 수들을 M번 더하여 가장 큰 수를 만드는 법칙이다. 단, 배열의 특정한 인덱스(번호)에 해당하는 수가 연속해서 K번을 초과하여 더해질 수 없는 것이 이 법칙의 특징이다. ❗ 예를 들어 순서대로 2,4,5,4,6으로 이루어진 배열이 있을 때 M이 8이고, K가 3이라고 가정하자. 이 경우 특정한 인덱스의 수가 연속해서 세 번까지만 더해질 수 있으므로 큰 수의 법칙에 따른 결과는 6+6+6+5+6+6+6+5 인 46이 된다. [입력 조건] 첫째 줄에 N(2

[이것이 코딩 테스트다] 그리디 <1. 당장 좋은 것만 선택하는 그리디>

📚그리디Greedy 그리디 알고리즘은 영어 그대로 번역하여 '탐욕법' 으로 소개된다. 여기서 '탐욕법' 은 '현재 상황에서 지금 당장 좋은 것만 고르는 방법' 을 의미한다. 그리디 알고리즘은 기준에 따라 좋은 것을 선택하는 알고리즘이므로 문제에서 '가장 큰 순서대로' 혹은, '가장 작은 순서대로'와 같은 기준을 알게 모르게 제시해준다. 대체로 이 기준은 정렬 알고리즘을 사용했을 때 만족시킬 수 있으므로 그리디 알고리즘 문제는 자주 정렬 알고리즘과 짝을 이루어 출제된다. [예제 1] 거스름돈 : 당신은 음식점의 계산을 도와주는 점원이다. 카운터에는 거스름돈으로 사용할 500원, 100원, 50원, 10원짜리 동전이 무한히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손님에게 거슬러 줘야 할 돈이 N원일 때 거슬러 줘야 할 동전의..